2024-04-27 18:26 (토)
[칼럼] 대학의 위기 [1] - 학생과 대학의 공생 방법
상태바
[칼럼] 대학의 위기 [1] - 학생과 대학의 공생 방법
  • KNS뉴스통신
  • 승인 2024.01.31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충인 미래교육자

정원미달 학과 대학이186개교라고 한다. 전체 학과미달 학교도 있고 일부학과 미달 학교도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지방대학 신입생 충원 현황과 정책 및 입법과제'라는 제목의 'NARS현안분석 보고서'를 보면 현재의 대학입학정원이 유지된다면 2024년에 대학입학정원이 47만 4천명이고 대학입학이 가능한 학생수가 43만명이다. 대학에 실제로 입학하는 학생은 37만 3천명으로 입학정원에 대비해 실제 입학생수는 10만명이 미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대학입학 모집생 정원이 고등학교 졸업수 보다 10만명 많다. 대학은 부족한 인원을 채우지 못하면 폐강이고 폐교다. 해결책은 간단하다. 국내학생이 부족하니 외국인 학생으로 모집한다.

수도권 대학은 학생유치가 유리하지만 비수도권 대학은 학생유치에 대학교수들의 총력전이 벌어지고 있다. 총191개 대학 중에서 수도권 대학이 71개(37.2%), 비수도권 대학이 120개(62.8%)이며, 총136개 전문대학 중에서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이 43개(31.6%)이고,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93개(68.4%)다. 비수도권 대학은 미달로 인한 신입생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2021학년도 교육부 자료에 다르면 전체 대학의 충원율은91.4%로 미충원 인원이 4만 586명이었다. 학생수 감소로 인하여 미달학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다.

권역별 4년제 대학 충원율은 수도권 99.2%, 충청권 94.8%, 전라·제주 91.8%, 대구·경북 91.0%, 부산·울산·경북 94.1%, 강원 89.5%로 비수도권 대학의 충원율이 수도권 대학보다 낮았다.

전문대학도 비수도권 전문대학 충원율(82.7%)이 수도권 전문대학 충원율(86.6%)보다 낮았다. 충원하지 못하는 인원은 학교 재정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비수도권 대학은 필사적으로 학생모집에 나설 수밖에 없지만 한국학생은 찾기 어렵다. 따라서 외국학생 유치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한국대학은 외국인 취업의 천국이 되고 있다.

한국취업을 하기 위해 주변국가에 많은 사람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 한국대학입학은 이들에게는 기회다. 한국에 오면 학비는 아르바이트로 번다.

한국은 동남 아시아를 비롯한 후진국가의 젊은 청년에게 기회의 땅이다. 수년전부터 지방대학은 외국인 대학으로 변했다. 일부 대학은 100%가 외국학생으로 모집하는 경우도 있다. 취업 비자얻기는 어려워도 학교 입학은 대학에서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동물이 공생하듯이 대학과 외국 취업자들이 공생을 하는 것이다. 불법 취업자는 일할 사람이 부족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많은 선진국가들은 일손 부족으로 불법 취업을 묵인하는 경우도 있다. 나라마다 부족한 일손을 불법취업자로 대처하고 있다.

법적으로는 불법이지만 실제는 눈 감고 있는 것이다. 일부대학이 이런 산실이 되고 있다. 학생충원을 못하면 최소한 40개- 70개 정도 대학은 폐교를 해야한다. 문제는 폐교는 지역의 황폐화를 만든다.

서남대학교 폐교로 발생했던 사건을 기억한다.

다니던 학교가 폐교를 하면서 지역경제는 황폐화되었다. 학생들은 타 대학으로 나누어졌고, 대학교수들은 갈곳을 찾아 흩어졌다. 일부 보도자료에 의하면 아파트 경비원으로 직업을 바꾼 교수 사례도 있었다. 외국까지 가서 박사학위를 받아온 고급두뇌가 제기능을 상실하는 것은 국가적 낭비다. 폐교로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도 심각하다. 비수도권의 살아 남기 위한 대학의 몸부림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학은 외국학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편법을 쓰고 있다. 일하며 대학을 다니도록 환경을 만드는 전략이다.

대학은 불법취업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오전 수업만으로 외국학생들에게 돈을 벌 수 있는 길을 터주고 있다. 일주일에 3일 강의하고 4일은 취업하여 돈을 벌 수 있게 만들 수도 있다.

한국대학은 외국 학생들에게 기회다.

외국 학생은 대학 졸업장 취득과 동시에 취업을 위해 한국대학을 선호한다. 네팔 등의 후진국 대학 졸업장보다 한국대학 졸업장이 취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외국학생과 대학교의 공생관계는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은 다양한 수업방식으로 대학을 유지할 것이다.

국가의 대학 교육정책이 뿌리채 흔들리고 있다. 국가 발전을 위한 미래인재 발굴과 육성정책의 혼돈으로 국가 미래가 위태롭다.

장기적이고 냉철한 대학교육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대학은 교육과정 개편, 학과 통폐합, 대학 간의 통합 등을 통하여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에 필자는 회의적이다.

입학할 학생이 10만명 이상이 부족한 시점에 부분적 처방이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근본적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의 대학 합격율 발표도 의미가 없다.

일부 고등학교 홍보물을 보면 취업률 100%, 대학입학율 100%라는 문구를 자주 본다. 고등학교 졸업자는 누구나 원하면 100% 대학에 가는 환경에서 고등학교는 대학 입학율 100%라는 문구는 이해하기 어렵다. 현실을 외면한 잘못된 홍보다.

한국 교육현장의 모순점은 이런 것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필자는 대학의 외국학생 유치전략이 고등학교 학생 유치전략으로 바꿔질까 걱정이다.

오죽하면 편법을 써서라도 외국 학생을 유치해야 할까? 대학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학생유치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대학 교수들이 학생 모집에 동원된지는 오래됐다. 학과 선택없이 모집하는 무전공 입학 대학이 늘어 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대학을 입학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졸업후 취업이기 때문이다. 인기 없는 학과 지원율이 떨어지는 이유다. 수도권 대학을 선호하는 이유가 대학 졸업후 취업 때문이다.

대학졸업자와 고교 졸업자의 취업 봉급이 40% 차이가 나기 때문에 대학을 간다고 한다. 대학은 취업만이 목적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 교육기관의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학생 부족으로 인하여 이러한 목소리는 작아지고 있다.

심각한 사태에 대학 진학 상담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조만간 한국은 모두가 대학 졸업자가 될 수도 있다. 기업은 이러한 교육환경변화에 대비 해야한다. 기업과 학교간의 산학관계가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방대학이 폐교하면 지역 경제의 황폐와 대학교수, 인재와 직원들의 실업으로 국가가 부담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지방대학과 지역 기업, 학생이 공존할 수있는 정책을 다음 기고에 알아본다.

KNS뉴스통신 kns@kns.tv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