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석] 도예가 박성욱 작가, 현대적인 트랜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생활도자기 MUSSO
상태바
[초대석] 도예가 박성욱 작가, 현대적인 트랜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생활도자기 MUSSO
  • 이은구 기자
  • 승인 2023.11.08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천년 이어온 전통도자기에서 실용성 생활도자기로 재탄생

 

박성욱 도예가

[KNS뉴스통신=이은구 기자] 흙이나 점토를 이용한 도공의 손끝에서 탄생하는 수많은 형태와 디자인의 도자기는 도자기 장인의 예술적인 시각과 창의력으로 빚어져 점토의 속성과 특성을 잘 살려 다양한 기법과 장비를 이용하여 독특한 감각을 살린 도예가의 장인정신으로 빚어진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자기를 실생활에도 접목시켜 식기, 컵, 장식품, 조명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수 천년을 이어온 전통도자기는 일제 강점기와 6.25를 거치면서 전통이 끊어지다시피 하다가 소수의 도예가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 왔다. 수많은 도예가들이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가볍고 견고한 새로운 도자기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예술적인 재능과 기술을 통해 도자기의 아름다운 가치를 높이고 우리의 삶에 풍요로움을 선사하며, 식탁에 올려진 아름다운 식기류는 우리에게 행복감을 가져다준다. 도자기는 값이 비싸고 접근하기가 힘들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누구나 접할 수 있는 생활 도자기로 재탄생하여 원료와 기법면에서 큰 시대적 변화를 가져왔다.

단순함과 동양의 절제된 감성적 정서를 실용성을 바탕으로 제작

생활 도자기 트랜드를 선도하는 “무소-MUSSO” 는 도예가 박성욱 작가가 만든 생활 자기 브랜드 이름이다. 가장 오래된 불교 경전 “숫타니파타”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는 경전에서 나오는 “무소-하얀 코풀소” 를 영어식 발음으로 “MUSSO” 라 표기한데 착안한것이며 “무소-MUSSO”는 박성욱 작가가 사용하는 “덤벙기법”이 “무쏘의 뿔처럼 뚜벅뚜벅 걸어가는 과정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MUSSO”의 디자인은 단순함과 동양의 절제된 감성적 정서를 실용성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며, 단단한 흑색과 투박하고 울퉁불퉁한 질감의 캔들워머, 커피 드리퍼등이 그의 대표적인 생활도자기 작품이다.

박성욱 작가는 2002년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원에서 도자공예를 전공하였으며, 국민대학교 도자 공예학과에 출강하여 후학들을 양성하는데 힘썼으며, ‘북악도예가회’ 회장을 역임하는등 잊혀져가는 전통도자기와 생활 도자기를 널리 알리는데 기여했다. 

양평에 운명처럼 끌리어 엄마 품 같은 포근한 느낌 

박성욱 작가는 2006년도에 열린 “제3회 토야 테이블웨어 페스티벌”에서 대상수상의 영광을 안아, 작품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토야테이블 웨어”는 ‘재단법인 세계도자기 엑스포’가 주최하는 세계 도자 박람회로 우리 도자식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다.

박작가는 27년 전 아내인 이금영 작가와 함께 운명처럼 이끌려 양평의 지평리에 터전을 잡고 정착하게 되었다. 느림의 미학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강과 산이 그림처럼 한데 어우러진 양평은 그들 부부에게 엄마 품같은 포근함을 안겨주었고 예술을 업으로하는 그들 부부에게 최고의 작업 환경을 제공했다.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박작가의 작업실은 박작가가 손수 한옥으로 집을 지어 그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으며 집 옆에는 부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가마가 자리하고 있다. 가마가 있는곳을 지나면 투박하지만 모나지 않은 돌계단을 만날 수 있고 그 돌계단을 오르면 그의 작업실이 펼쳐진다. 작업실 벽에는 박성욱작가와 아내인 이금영 작가의 작품들을 전시해놓은 갤러리가 방문객들의 시선을 끈다. 

입체적 달항아리를 회화형식으로 벽에 재현

박작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에서 개최하는 “2020KCDF, 공예디자인 공모전시”에 도자분문에 선정되어 ‘편(片)-박성욱 전’에 참여하여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작품, 달(MOON)은 입체적인 달항아리를 회화형식으로로 벽에 재현하는 독특한 기법으로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국내뿐만 아니라 싱가폴을 비롯해서 해외에서도 주목받은 그의 작품들은 공예로 접근하기보다는 미학적인 측면을 먼저 본다. 박성욱 작가는 기(器)에서 편(片)까지 두 영역을 넘나드며, 회화와 설치 미술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작품 세계를 추구했다.

도자기는 인간문명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어떤 도구​​​​​​​ 

어릴 때부터 그림을 좋아해 늘 미술을 가까이했던 박작가는 자연스레 미대에 진학했으며 군대를 제대하고 작품의 방향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을 하던 중 졸업한 선배들이나 기성 작가들의 작업장을 직접보고 막연하게 “작가로 한번 살아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는 “도자기는 가마에 들어가는 중에 변형이 되고 깨지기도 하고 수축이 된다. 완벽한것보다는 모나고 투박하고 이그러지고 깨져서 나오는 그런 과정들에서 도자기의 매력을 느꼈어요. ‘이게 도데체 뭔가?’라고 생각을 해 봤는데 ‘완벽한것보다 미완의 그것이 더 오히려 꾸밈이 없고 솔직한 정직성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흙을 만지는 자세에 대해서 스스로 반성하게 되고 겸허히 받아들이는 그 경험이 가마를 굽는 과정에 있던거라고 의문이 풀리는 순간 광부가 금을 발견하는 느낌이었다” 고 그는 회고했다.

그는 그의 이런 질문들에 대한 해답과 너무도 닮아있는 “덤벙분청”에 빠져들었고 전국의 박물관과 관련된 현장을 답사하며 공부하고 연구했다.

덤벙분청은 15, 16세기에 잠깐 성행했다가 사라진 분청의 한 기법으로 말 그대로 백토물에 풍덩 담갔다가 꺼내거나, 덤벙 담근 것을 붓으로 돌리거나, 혹은 붓에 백토물을 적셔서 휘익돌리는 수법으로 표면을 마감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덤벙기법은 백자와 비슷한 과정을 거치며,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않고 단순하고 거칠지만 솔직한 과정이 인간의 삶과 닮아있다. 

전 세계인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것 

박작가는 “나이 60이 되기전에 해보고 싶은 것이 있다. 청주 비엔날레전시에 참가했는데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고 작품에 대한 피드백이 왔다. 운이 좋게 해외에 있는 갤러리에서 전시를 하는 기회를 얻어 해외 전시의 물꼬를 틀었다. 내년에도 전시 계획이 있는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작품활동에 더 매진해 전세계 도자애호가들에게 좋은 작품을 선보이고 싶다”고 소회를 밝혔다.

생활 도자기는 현대 사회에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점토나 토기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수공예 방식으로 제작되며 수요자의 요구와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제품들이 만들어지며 기능성 면에서도 내열성, 내구성이 뛰어난 다양한 작품으로 탄생한다.

박성욱 작가의 손끝에서 탄생한 생활도자기는 생활 곳곳에 꽃으로 피어나서 우리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것이며 그의 작품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도자기 애호가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다. 앞으로도 박성욱 작가의 활발한 작품활동을 기대해 본다. 

이은구 기자 vnews@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