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19:49 (토)
[탐방] 노적사, 무겁던 마음 절로 순화되는 '지상선경(地上仙境)' 전통사찰
상태바
[탐방] 노적사, 무겁던 마음 절로 순화되는 '지상선경(地上仙境)' 전통사찰
  • 박동웅 기자
  • 승인 2022.02.03 14: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 원력의 수행도량, 나한성중 기도도량, 평화통일 기도도량

Religion / 노적사(露積寺) 종후 주지스님

대 원력의 수행도량, 나한성중 기도도량, 평화통일 기도도량

[KNS뉴스통신=박동웅 기자] 수도권 최고의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천년고찰 북한산 노적사, 단풍이 곱게 물들어가는 산길을 걷고 걸어, 수행을 하듯 가파른 계단을 한참 오르다보면 노적봉과 어우러진 신령함과 웅장함에 저절로 감탄이 나온다.

호국도량이라는 천년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노적사에서 북한산 첩첩절경을 바라보면, 나무의 향과 어우러진 노적봉마저 부처님의 온화한 미소 같아 저절로 숙연해진다. 주변 어느 곳을 둘러봐도 아름다운 비경이 펼쳐져 있어, 맑은 하늘, 바람소리, 흰 구름까지 부처님 발자취 같다. 그래선지 기도 영험이 뛰어난 지상선경(地上仙境)의 사찰이라고도 한다.

종후 주지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마음 안에서 스스로 깨어나 정신문화에도 조화가 이루어지면 모두가 평화롭고 행복해질 수 있다”며, “부처님 공부하면 세상의 이치가 보이게 된다. 이곳과 인연이 되는 사람들이 오셔서 힐링하면서 스트레스를 내려놓고, 부처님 법이 후손들에게까지 전해지는 마음의 고향이 됐으면 좋겠다”고 연꽃같이 맑은 가르침을 전했다.

이어 “지금은 조금 힘들더라도 불자들은 부처님의 제자답게 모범을 보이고 세상이 어렵고 힘든 때일수록 불자들은 선행의 실천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마음을 모아 정진하자”고 당부하며, “노적사가 불자다운 불자, 불교다운 사찰로서 역할을 해나가기를 바라고 또 바란다”고 깊은 뜻을 밝혔다.

한편, 호국불교도량 천년고찰 노적사는 60년대까지 법당과 삼성각, 요사채가 전부였던 빈궁한 사찰이었지만, 1977년부터 주지로 부임한 종후 스님이 가람불사를 이뤘고 2001년 1월에 전통사찰로 등록했으며, 대원력의 수행도량, 화엄신중 기도도량, 나한성중 기도도량, 평화통일 기도도량, 청정법신불 기도도량으로서 부처님의 대자대비를 실천하는 빛이 가득한 무한대광명의 부처님도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노적사에서는 불자들을 위해 매월 법회와 기도 도량을 행하고 있으며, 가을에는 경기북부 산사음악회를 개최해 음악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도량,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는 사부대중의 큰 도량, 부처님의 깊은 큰 가르침을 구할 수 있는 각종 불교와 관련한 교육 도량으로서 지역봉사 활동에도 소명을 가지고 임하고 있다.

 

호국불교도량, 평화통일 기원도량

노적사는 조선 숙종 38년(1712년)에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사찰들 중 하나로서, 풍전등화와 같았던 전쟁에서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고 큰 피해를 입은 중생들을 구제하겠다는 일념으로 세워진 호국불교 도량이다.

천년고찰에는 마음을 닦으려고 했던 많은 선인들의 입김이 서려 있듯이 노적사는 그 당시, 나라를 위해 혁혁한 공을 세우고도 내세우지 않고, 전국의 승군을 통솔하는 직책을 부여받은 팔도도총섭 성능(聖能)스님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 사찰명이었던 ‘진국사(鎭國寺)’라는 뜻으로 미루어 ‘나라를 지키는 사찰’이라는 의미로 귀결된다. 특히 북한산성을 축조하고 중요한 거점 13곳에 사찰을 세워 나라를 지키는 호국불교를 실현한 인물이 성능스님으로서, 애초부터 노적사는 나라가 위기에 처하면 언제든지 백성을 구제할 수 있는 승병, 승군들이 머무는 승영 사찰로서 역할을 단단히 수행해왔다.

북한산성 축성 과정과 현황을 정리한 문헌 '북한지'(北漢誌, 1745년 간행)에도 ‘진국사는 노적봉 아래에 있으며, 85칸으로 승려 성능이 창건하였다’고 기록돼 있다. 그때도 그랬지만 지금의 노적사 역시 ‘평화통일 기원도량’이다. 진국사로부터 비롯된 호국불교의 역사를 충실히 이어왔으며 당시의 전쟁이 아닌, 현재 남과 북으로 갈린 분단 상황에서 호국불교를 실천하고 평화통일 기원과 함께 중생을 구제하는 방편으로 실현하고 있다.

“우리 사찰은 남북통일이 되는 그 날까지 평화통일 기원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 전하는 종후 주지스님은 “만중생의 불성(佛性)이 깨어나게 하고 만중생이 성불(成佛)할 수 있도록, 또 만생명이 부처님의 정법(正法)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간절히 염원하고 기도하고 있다”고 깊은 뜻을 전했다.

사실 노적사의 역사를 제대로 알려면 세 분의 스님을 기억하면 된다. 노적사의 전신인 진국사를 창건한 성능 스님과, 그 뒤를 이어 1960년대 흔적도 없이 폐허가 된 사찰을 다시 세운 무위 스님, 그리고 빈궁했던 사찰을 현재와 같이 크게 중창한 종후 스님이 바로 그들이다.

특히 종후 주지스님은 1977년부터 주지 소임을 맡아서 스님의 손이 가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정성을 다해 대웅전부터 적멸보궁, 나한전, 삼성각, 삼보전, 동인당, 범종각, 보림루(保任樓)까지 가람의 대부분을 현재와 같이 일으켜 세웠을 뿐 아니라, 중요한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 ‘전통사찰’로 등재시켰다.

이러한 불사는 어려움 속에서도 종후 주지스님의 뼈를 깎는 헌신과 간절한 기도 원력과 영험함, 그리고 한없는 부처님의 가피로 이루게 된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전통사찰 노적사의 불사를 확대해 템플스테이를 비롯한 불자를 위한 다목적 편의시설 건립을 바라고 있습니다. 크기보다 실속있게 짓고 싶습니다. 국립공원이어서 고양시-경기도-문화체육관광부를 거쳐 최종결정이 나지만, 고양시가 1차적인 관문입니다.”

종후스님은 “고양시가 굳이 전통사찰의 템플스테이를 불허할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면서 “허가만 내주면 불사를 위한 예산은 사찰에서 감당할테니 전통사찰로서 자리매김하도록 관련부서의 협조”를 구했다.

절경과 어우러진 기도영험, 전국 제일의 기도처

북한산(北漢山)은 불교의 성지로서, 영산의 맥을 따라 이름난 절과 암자들이 수없이 들어서있다. 그중에서도 웅장한 노적봉 아래 아담하게 자리한 영험한 기도처가 바로 노적사로서 가파른 산길과 계단을 오르면서 저절로 기도가 되는 사찰, 경내에서 풍경을 바라보면 저절로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는 천년사찰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노적사를 빛내는 것은 기도영험이다.

노적사에서 부처님의 기피를 받은 ‘소원은 꼭 이루어진다’는 입소문이 내려오고 있으며, 정성껏 기도한 뒤에 소원성취 했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리고 있다. 그래서인지 한번이라도 방문해본 사람은 반드시 다시 찾게 되어있다고 한다. 기도영험이 높고, 부처님의 마음을 닮은 주변의 깊고 고요한 풍광을 잊지 못하기 때문이다. 노적사 대웅전 바로 뒤에 웅장하게 솟아있는 장엄한 봉우리는 노적봉(露積峰)으로서 이 바위를 보고 있노라면 명산의 맑은 기운에 마음이 저절로 평온해지면서, 스쳐 지나가는 한 줄기 청량한 바람에도 무겁기만 했던 머릿속이 깨끗해진다. 일상의 번뇌를 가볍게 내려놓고, 자연에 동화될 수 있는 이곳이야 말로, 진정 일반인들이 찾고자 하는 이상향 같은 기도처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특히 노적봉의 노(露)는 ‘감로(甘露)’를 의미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님의 법과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감로수가 가득 쌓여있는 절, 부처님 가르침이 넘쳐흐르는 절이 바로 노적봉 아래 노적사이다.

무려 반세기 동안 중창불사 원력을 계승해 전력을 다해온 종후 스님은 “자신의 마음과 행위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자신과 주변의 행․불행이 결정된다. 이러한 진리는 불성을 깨달음으로 가능하다”며, “욕심을 비우고 성실하게 삶과 동시에, 올바르게 살아가면 원하는 모든 것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또한 덕을 쌓고, 일념으로 기도하면 그 기도는 길잡이가 되고 힘이 된다”고 조언했다.

마음의 근원을 찾아 번뇌 망상 속에서 벗어나 중생을 제도하고 염원하는데 뜻을 두고 있는 불교의 가르침대로, 모든 인연의 법칙이 마음에 있고 법계를 주재한 것도 마음에 있고, 업을 짓고 선행하는 것도 마음에 있으며, 마음을 바로 세우고, 마음을 비우는 것 또한 자신에게 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고 했듯이 마음이 만법의 근원임을 아는 것이 바르게 아는 것이며, 수행을 통해 모든 근심 걱정 어두운 그림자가 소멸되어지고, 자신을 바꾸고 향상시키면 그 원력이 성불의 결과로 나타난다.

기도 중에도 이러한 마음의 근원을 알고, 몸과 마음을 항시 정갈히 하여, 흐트러짐 없이 일심 정성을 다하여 기도하면 반드시 감응과 그 공덕이 있다고 한다.

부처님 마음을 닮자

가파른 산길을 올라 가만히 내려다보고 있으면 대부분의 사람은 각자에게 있어 거의 비슷한 각도의 시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평가하며 그에 준한 행동으로 타인과 발맞추어 살아가고 있다.

특히 근래 들어 물질은 조금 풍부해졌다지만 정신적으로는 점점 각박해지는 사회, ‘가족은 있지만 가정이 없다’고 할 정도로 사람들은 감수성을 잃은 삭막한 도시에서 마음을 잃은 채 물질에 떠밀려 정신없이 살아간다. 그래서 불교는 마음속의 복잡한 문제를 없애고 자비심을 일깨워야 평화를 가져오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다.

마치 산에는 오를 때는 힘들게 올라가지만 하산할 때에는 좀 더 쉽게 내려올 수 있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자신을 대신해서 정상에 데려다 줄 수는 없고, 스스로 오르내리면서 터득해야 한다. 그래서인지 “경험한 자만이 진정한 배움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요,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종후 스님은 “우리 불자들은 하심(下心)의 행을 통해 모두 좋은 인연을 지어가며 더불어 복을 짓고 또 불법(佛法)을 통해 어리석은 심안을 깨달아 불도를 이루고, 밝은 세상을 열어가자”라고 당부하며, “우리 모두 지혜를 구하여 세상을 바르게 보고 듣는 눈과 귀가 되어 더불어 잘사는 삶을 이루고, 인과법을 알고 부처님 마음처럼 순한 마음을 갖자. 물질의 욕심을 버리고, 마음의 창고를 저장하며 사는 것이 부처님의 참 제자”라고 맑은 자비의 가르침을 전했다.

아울러 “탐진치 삼독심을 버리고, 서로 양보하고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되면 가정부터 그리고 사회, 더 나아가 국가와 인류가 행복해진다.” 또한 “모든 것을 남의 탓이라고 하지 말고, 자신의 탓으로 하는 책임의식을 감수하는 인내가 이어져야 가족들은 물론 이웃과 사회의 행복한 화합을 이룰 수 있다”고 설파했다.

끝으로 “무슨 일이 생기면 부정적인 면을 먼저 생각하는데 마음훈련을 꾸준히 해서 밝은 쪽을 바라보자”며, “밝고 긍정적인 마음은 세상에 빛이 되어 모두를 즐겁고 행복하게 할 수 있다”고 가르침을 전하는 종후 스님, 찻잔의 차가 식는 줄도 모르고 스님의 자비 나눔에 대한 담소는 이어졌다. 종후 스님의 설법을 듣고 있으면 근본심성에 부드러움과 온화함을 심어준다.

스님의 원력 때문일까? 하산하는 길에도 생기가 가득한 노적사의 평화로운 기운을 받으면서 내려가는 신도들의 모습까지 청정해 보였고, 주변에 떨어진 낙엽들도 조화를 이루며 아름다움을 한껏 뿜어내고 있었다.

기자 역시 가을빛이 곱게 물들어있는 노적사의 종후 스님의 원력을 받았는지 살아가면서 잘못 듣고 행함을 참회했고, 어떻게 살아야 안으로 마음을 잘 닦고 밖으로 좋은 인연을 지을지를 발원했다. 자비를 일깨우는 아름다운 햇살에 투영되는 노적사의 아름다운 광명이 어두웠던 우리네 마음을 훤히 밝혀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박동웅 기자 vnews@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