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20:42 (목)
강은미 "건설업 산업재해 1위 지에스건설, 제조업은 현대중공업"
상태바
강은미 "건설업 산업재해 1위 지에스건설, 제조업은 현대중공업"
  • 조현철 기자
  • 승인 2020.07.20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0인 미만 사업장 산업재해 80%, 재해 사망자수 60% 차지
강은미 의원
강은미 의원

[KNS뉴스통신=조현철 기자] 2018년부터 산업재해 발생이 연 10만 건, 사망자수는 2천여명에 이른다. 특히 업무상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2018년 이후 사고재해 사망자수를 넘어섰으며, 업무상 질병의 경우 뇌혈관 질환, 신체부담작업, 비사고성요통, 소음성난청 등에서 증가 폭이 컸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강은미 의원이 최근 5년 산업재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산업재해 중 50인 미만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비율이 약 80%, 재해사망자수 발생비율이 60%를 차지하고 있다며 ‘죽거나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입법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체 사고 산업재해 중 발생 형태별 산업재해 비중은 넘어짐(20.4%), 떨어짐(17.0%), 끼임(15.2%), 절단,베임,찔림(10.8%), 물체에 맞음(8.3%), 부딪힘(8.2%), 사업장외 교통사고(5.1%) 순이고, 전체 사고로 인한 재해사망 중 발생 형태별 비중은 각각 떨어짐(38.3%), 끼임(11.5%), 부딪힘(10.0%), 사업장외교통사고(7.3%), 깔림,뒤집힘(7.1%), 물체에 맞음(6.3%) 순이다.

전체 업무상질병 산업재해 중 유형별 비중은 각각 신체부담작업(29%), 사고성요통(19%), 진폐증(13%), 비사고성요통(11%), 소음성난청(10%), 뇌혈관질환(7%), 심장질환(2%) 순이고, 전체 업무상질병 재해사망 중 유형별 비중은 각각 진폐증(41%), 심장질환(20%), 뇌혈관질환(19%), 직업성암(10%), 정신질환(4%) 등으로 확인됐다.

2015년부터 지난 3월까지 사업장 규모별 산업재해 현황은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79.4%, 사망자 수가 60%에 이르렀다. 세부적으로 재해자수는 10인 미만(48.4%), 10인~29인(22.9%), 30인~49인(8.1%), 50인~99인(7%), 100인 이상(13.7%)이고, 사업장 규모별 사망자 현황은 10인 미만(33.9%), 10인~29인(18.1%), 30인~49인(8.1%), 50인~99인(9.2%), 100인 이상(30.8%)로 나타났다.

10대 건설업 및 제조업의 산업재해 현황을 보면, 건설업의 경우 산업재해 발생 1위 업체는 지에스건설(주)로 근로자 1만 명당 재해자수 비율은 25명, 2위 ㈜호반건설 15명, ㈜대우건설 13.7명, 대림산업(주) 10.9명, 현대건설(주) 10.8명, 롯데건설(주) 9.6명,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주) 9.2명, 현대엔지니어링(주) 8.1명, 삼성물산(주) 및 ㈜포스코건설이 각각 5.5명으로 확인됐다.

10대 제조업의 경우 산업재해 발생 1위 업체는 현대중공업(주)으로 근로자 1만 명당 재해자수의 비율은 181.3명, 기아자동차(주) 97.6명, 현대자동차(주) 70.2명, ㈜포스코 13.7명, 하이닉스반도체 6.8명, 엘지디스플레이(주) 3.1명, 삼성디스플레이(주) 2.5명, 엘지전자(주) 2.3명, 삼성전기(주) 1.5명, 삼성전자(주) 1.3명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최근 5년간 산업재해는 50인 미만 사업장에 집중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들 기업 대부분은 하청업체로 산업재해에 대한 책임도 고스란히 이들 몫이다. 이와 같은 중대재해 책임이 전가되는 구조에서는 산재사망 1위라는 오명을 벗어날 수 없다며 중대재해 발생시 책임 있는 기업이 책임을 져야 산업재해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에 국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조현철 기자 jhc@kns.tv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