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20:57 (금)
SNS와 정치혁신
상태바
SNS와 정치혁신
  • 최충웅 편집인 사장
  • 승인 2012.02.07 11: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제 SNS(쇼설미디어서비스)는 문명의 이기를 넘어 정치혁신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지난 민주통합당 지도부 선출 투표결과 전체 1~3위가 시민 선거인단의 모바일 투표순과 정확히 일치했다. 새누리당도 올해 총선 후보 공천 심사에서 SNS 실적반영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한다. 트위터 같은 SNS 매체가 정치에도 광범히 하게 활용되는 것은 일반 시민도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모바일 미디어로서의 SNS는 뉴스소비 형태와 생활습관 까지도 변화되고 있다. 뉴스검색도 온라인 컴퓨터가 아닌 스마트폰으로 트위터에 뜬 이야기만 보고 화제를 찾아서 본다. 실시간으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트위터에서 기사반응에 대한 댓글을 먼저 접하고, 트위터 링크로 화제꺼리 기사를 골라서 읽는다. 보고 싶은 상영관의 영화나 맛집을 찾을 때도 팔로어인 ‘트친(트위터 친구)'에게 물어보면 누군가 나서서 도와준다. 사회적 이슈에 대한 토론에도 참여할 수 있고, 저명인사에게 직접 말을 걸 수도 있다. 시대의 변화를 수용해 SNS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활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정치개혁과 생활양식에도 편리하고 유익한 문명의 이기가 자칫 잘못 사용될 경우 소통의 도구가 아닌 저주의 무기가 될 수 있기에 필요악의 소품이 되기도 한다. 트위터라는 미디어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즉석에서 짧은글을 주고받다 보니, 실수로 의도하지 않은 내용을 띠울 수도 있고, 한번 발송된 내용은 팔로어에 팔로어로 이어져 재전송되어 다시 주워 담을 수도 없다. 발신자의 글이 순식간에 수만·수십만명에게 퍼져 나가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기존의 전통 매체인 신문·방송 등은 메시지를 취사선택하고 편집과정을 거치지만 트위터와 인터넷은 걸러지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마구 잘못 쓰이면 언어 테러의 흉기나 다름없다. 수백만명이 이용하는 트위터가 허위사실 괴담이나 인격훼손 저질 공격의 무분별한 통로가 될 때는 잔인무도한 폭력이 된다.

트위터에서 익명으로 생산되는 거짓과 왜곡된 주장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타살됐다"는 허위를 넘어, 유명인 거짓 자살 루머도 급속히 번졌다. “강호동이 자살했다”는 소문이 빠르게 퍼지기도 했다. 발단이 된 글은 “오늘 오전 강호동 자택에서 숨쉰채 발견”이라는 글. ‘숨진채’를 ‘숨쉰채’라고 바꾼 뒤 올린 글이지만, ‘숨쉰채 발견’은 언뜻 ‘숨진채 발견’과 비슷하게 보인다. 많은 네티즌들은 강호동이 자살한 것으로 생각해 관련 글을 급속히 퍼트렸고, 주요 포털 검색어에 올랐다. 장난삼아 올린 글 때문에 법적 책임을 져야 할지 모르는 상황도 발생하지만, 맨 처음 퍼트린 자신의 글이 삽시간에 퍼져 나가는 모습에서 쾌감을 느끼거나 자아 도취하는 망상증에 빠지는 트위터리언들은 전혀 책임감이나 자성(自省) 없이 일을 저질러 놓고 있다. 한·미 FTA에 대해 '나라가 망하게 될 것'이라고 선동한 시위대의 서울 종로서장 폭행사건에 대해 '자해공갈로 드러났다'는 말을 퍼뜨렸던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SNS의 이런 현실이 올해 총선과 대선 두 차례 선거를 거치면서, 'SNS 선거'의 위력이 어떤 현상으로 나타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과연 'SNS 민주주의'로 정치혁신을 이룰 것인지, 대의(代議)민주주의로 SNS를 포용할 것인지, 아니면 정당민주주의가 SNS에 잡아먹힐 것인지 논란이 뜨거워 질것으로 보인다. 기존 전통적인 민주정치는 정당·의회를 근간으로 한 대의민주제였다. 그러나 SNS 등장으로 대중의 직접 참여가 확산되는 SNS민주주의론이 대두된 것이다. 이미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정당정치에 대한 불신과 외면이 입증되었다. 온·오프로 분리돼 있던 정치 참여가 융합되고 SNS의 이동성·속도의 위력으로 24시간 정치참여가 가능해져, SNS 시민사회와 정당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SNS는 빛의 속도로 순식간에 많은 사람들이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짤막한 토막정보로 여론이 쉽게 감성적으로 휘둘리기 쉬운 단점도 있다. 이럴 경우 특정 소수의 선전·선동가들이 한쪽으로 여론몰이를 하기 십상이다. 이들의 의견이 시민의 의견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SNS 의견이 시민들의 대표성을 지닌 것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SNS 공간이 정치제도로 이어지는 소통과 여론 형성 공간으로는 훌륭하지만 그것이 의회만큼 지역적·기능적으로 고른 대표성이 있는지, 정당이나 의회의 정책논의는 의원들이 다음 선거를 통해 책임지기 때문에 진지한 숙의과정을 거치지만, 모바일 참여는 손끝으로 쉽게 결정하게 된다. SNS는 특정 성향과 의견을 가진 사람끼리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SNS 의견에 따라 결정 실행하고, 결과가 나왔을 때 그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 또한 모호해 진다.

그렇다고 기본적으로 소통기구이고 표출 통로인 SNS를 정당과 대립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정치 참여를 이끌어내고 관심을 끌어낸 공로가 있다. 정당민주주의나 대의민주주의가 존속하기 위해서도 SNS를 포용해야 한다.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SNS 환경은 민주주의에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민주주의 자체가 다수의 참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긍정적 측면이 있다. 하지만 대중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식은 정당정치의 안정성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 정당 기반이 취약한 상태에서 직접민주주의에 끌려가서도 안 될 것이다. SNS 잘 활용하면 민주주의에 획기적 발전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과연 SNS가 정치혁신을 이룰 것인지 모두가 지혜를 모울 때이다.

 

최충웅 편집인 사장 choongwc@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