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17:34 (목)
[이인권 대표 문화논단] 국가 선진화의 핵심가치는 '공정평등성'
상태바
[이인권 대표 문화논단] 국가 선진화의 핵심가치는 '공정평등성'
  • 이인권 논설위원단장
  • 승인 2018.05.08 0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권 KNS뉴스통신 논설위원단장

정부정책 포털사이트 '공감코리아'는 공정사회를 '불합리와 불공정을 극복함으로써 법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 기회가 균등하게 보장됨으로써 실력으로 평가받는 사회, 소통과 화합을 통해 차별과 불신을 없애는 사회'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 의미대로 ‘공정평등’은 지금 우리사회가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가치다. 우리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이른바 ‘갑 - 을의 관계’ 는 공정하지 못한 사회를 상징하고 있어 적폐의 근원으로 꼽히기도 한다. 한국과 같이 전통적으로 수직적인 사회 구도에서 갑질의 행태는 모든 분야에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분명 공정평등사회는 우리사회의 왜곡되고 굴곡된 양상을 바르게 잡아 균등한 사회적 기회가 주어지고 부와 권력에 의해 인간의 가치가 재단되는 현상을 척결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사회체체계에서 절차적으로나 결과적으로 공정성과 평등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 선진사회의 기준이란 얼마나 공정성과 균등성이 담보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일찍부터 선진국에서는 공정한 국가의 이념을 사회문화적 운동이나 정치제도적 장치를 통해 실천해왔다. 물론 이전에도 우리사회가 공정하지 않은 가치를 추구했겠는가마는 우선은 현실적 개별 당면과제의 해결에 급급해 왔던 것이다.

그래서 하나의 문제를 대응하고 나면 또 다른 문제가 돌출하고 하나의 사안을 정비하고 나면 또 다른 사안이 대두되는 연쇄 고리를 이루었다. 물리적 대응처방에 급급한 사회구조가 되다보니 균등과 공정과 합리라는 사회정신이 뿌리내릴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지도층부터 일반시민에 이르기까지 공정사회의 가치가 내재화될 수 없었다. 많은 것들이 “한국사회의 관행” 속에 이루어져 오며 부와 권력이 정의가 된다는 범사회적 인식을 팽배하게 만들었다.

달리 공정한 사회의 요소는 포괄적인 의미로 기회 불이익의 철폐, 사회로 부터의 소외 해소, 사회적 경제적 격차의 해결, 합당한 삶의 가치 향유, 사회적 소통과 포용 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쩌면 정의로운 사회의 추구는 인류 역사와 함께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철학자들도 공정사회의 정립에 대해 많은 번뇌를 한 것을 보면 말이다. 일찍이 플라톤은 ‘가진 게 가장 적은 사회(minimal state)'가 이상적으로 공정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설파하였다. 그러면서 사회가 물질로 부유해지고 정치세력이 부상(luxurious state)하면서 부정과 부조리에 의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은 시작되고 공정은 희박해진다고 하였다.

플라톤의 논리를 빌자면 우리사회가 단기 압축 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파생되어 불공정 사회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사회에 물질풍요와 정치권력이 막강한 현대 시점에서 공정사회의 가치관을 정립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선진화는 요원한지도 모른다.

이제는 우리사회 모든 부문에 공정사회의 가치가 녹여져 있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선진 국가, 일등 국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공정한 사회(Just Society)는 선진국에서는 1968년 캐나다의 튀르도 총리가 국정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주창하였다.

그러면서 모든 개혁정책에 공정성의 가치를 담아내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사회 갈등의 해법으로 제시된 정책이 영어와 불어의 공식 언어 채택과 인권자유헌장의 제정이었다. 그 이후 캐나다 정치에서의 공정성은 가장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편 미국은 공정과 평등의 구현을 위해 존슨대통령이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의 기치를 치켜들어 빈곤 철퇴와 민족 갈등 해소를 포함 정당한 사회시스템 구축에 나선바 있다.

결국 공정한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를 의미한다. 마이클 센델은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에서 정의를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어떤 가치에 앞서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것', '미덕과 공동선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이제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정평등한 사회의 가치는 단순한 수사(修辭)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진정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 발돋움 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분명히 물질의 윤택함과 함께 정신의 선진화는 공정평등한 사회가 정착될 때에만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인권 논설위원단장은...

중앙일보, 국민일보, 문화일보 문화사업부장, 경기문화재단 수석전문위원 겸 문예진흥실장과 13년 동안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CEO)를 지냈다. ASEM ‘아시아-유럽 젊은 지도자회의(AEYLS)' 한국대표단, 아시아문화예술진흥연맹(FACP) 부회장,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부회장, 한국공연예술경영협회 부회장, 국립중앙극장 운영심의위원, 예원예술대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공연예술경영인대상, 창조경영인대상, 대한민국 베스트퍼스널브랜드 인증, 2017 자랑스런 한국인 인물대상, 문화부장관상(5회)을 수상했으며 칼럼니스트, 문화커뮤니케이터, 긍정경영 미디어 컨설팅 대표로 있다. <긍정으로 성공하라> <경쟁의 지혜> <예술경영 리더십> <문화예술 리더를 꿈꿔라> <석세스 패러다임> <영어로 만드는 메이저리그 인생> 등 14권을 저술했다.

 

 

 

 

이인권 논설위원단장 success-ceo@daum.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