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22:44 (목)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 비중 OECD 평균 절반 불과”
상태바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 비중 OECD 평균 절반 불과”
  • 김관일 기자
  • 승인 2018.03.08 12: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연구원,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보고서 8일 발표
소프트웨어 분야 근로자들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정보통신 분야 관리자 육성 등 필요
유한나 연구원

[KNS뉴스통신=김관일 기자]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새롭게 생겨날 일자리 비중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인 반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리 비중은 OECD 평균보다 높은 고용구조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분야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함께 정보통신 분야 관리자 육성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재)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연구원은 8일 발표한 연구보고서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핵심인력 현황 및 개선방향-새로운 분석지표를 중심으로’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인력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유한나 연구원은 먼저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인력(비반복적 인지노동)이 전체 근로자의 21.6%로 OECD 평균(42.2%)의 절반 수준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 비반복적 인지노동(핵심인력) 비중이 OECD 평균 보다 훨씬 적고, 오히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 비반복적 육체노동 비중, 반복적 인지 및 육체노동 비중은 OECD 평균 보다 높다.

국제표준직업분류 상 핵심인력인 비반복적 인지 노동은 전문가와 관리자로 분류되며, 우리나라의 전문가 비중(20.3%)과 관리자 비중(1.3%)은 모두 OECD 평균보다 훨씬 낮다.

지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OECD 국가들의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이 평균 5.8% 증가했으나, 우리나라는 0.5%로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OECD 국가들은 그동안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 양성을 꾸준히 준비했으나 우리나라는 핵심인력 양성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는 분석이다.

유 연구원은 또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인력 주요 부족 원인은 정보통신, 과학, 법률·행정 분야의 전문가와 정보통신, 문화·예술 분야의 관리자 부족 때문이라는 분석결과를 제시했다.

직무유형별 비중<2016년, 자료=파이터치연구원>

유 연구원에 따르면 정보통신에서는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전문가 부족이 심각하다. 하드웨어의 전문가 부족률은 1.6%인 것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의 전문가 부족률은 3.6%(소프트웨어 개발 3.6%, 웹 전문가 3.5%)나 된다.

소프트웨어 분야 전문가와 관리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과중한 업무량, 잦은 야근,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 등)이 젊은 인재들로 하여금 소프트웨어 산업을 기피하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핵심인력인 과학·공학 전공 박사들이 해외로 많이 유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2년 기준, 과학 전공 박사들의 해외유출 비중은 31.4%이고, 공학은 31.1%로 타 분야에 비해 가장 높은 해외 유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유 연구원은 또 정부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예산의 90% 이상이 문화·예술 분야의 전문가 일자리 창출에 편중돼서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관련 일자리 창출이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부족한 4차 산업혁명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방안을 제시했다.

유 연구원은 개선을 위해 첫째, 에스토니아처럼 과감하게 초등학교부터 소프트웨어 과목을 단독교과로 편성해 집중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둘째로는 근로계약서 표준화와 관리감독 강화를 통해 소프트웨어 분야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 셋째로는 유럽연합의 MSCA 인력교류 프로그램처럼 해외 기관과의 연구협력을 통해 과학·공학 박사들이 국내에서도 자신의 능력발휘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정보통신 분야 관리자 육성을 위해 관련 전문기관들의 교육프로그램을 정비해야 하며, 다섯번째로는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편중돼 있는 예산을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재편성해야 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공헌노력이 문화·예술 분야 관리자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이 요망된다고 조언했다.

김관일 기자 ki21@kns.tv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