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22:50 (화)
日, '평화 국가' 과거일왕 칙어(勅語)논란
상태바
日, '평화 국가' 과거일왕 칙어(勅語)논란
  • 김유진 기자
  • 승인 2017.01.04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쟁의 책임을 의식해 포괄적 의미로 해석

[KNS뉴스통신=김유진 특파원] 아베신조(安倍晋三)총리가 지난해 12월 진주만 방북 때의 연설에서  '평화 국가'를 언급한 이후 '평화 국가'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두고 일본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그 원류는 1945년 9월 4일의 쇼와(昭和)일왕의 칙어때로, 패전으로부터 3주간의 점령과 전범 추궁이 시작되면서 '평화 국가 확립'라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칙어가 국민의 화합을 강조하다 보니 '평화적인 새 일본을 건설'이라는 적극적인 국가 목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일본은 1945년 9월 2일 항복 문서에 조인했고,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했다. 전쟁을 종식시킨 포츠담 선언은 전쟁 책임 추궁과 전쟁 범죄인의 처벌을 내걸었고, 전쟁 책임자에 쇼와일왕이 포함될지 여부는 정부 관계자의 중대한 관심사였다. "일왕의 전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서도 평화 국가로 태어나는 것으로 포츠담 선언을 이행하겠다고 국제 사회를 향해서 나타내고 싶은 건 아닌지"라고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잇쿄대학교수(一橋大教授)가 주장했다.

한편 일본내에서도 1945년 8월 15일 이후에도 '철저한 항전'을 외치고, 일부 장교들의 반란 등이 일으키고, 포츠담 선언을 이행하는 데에서 군대의 해체와 무장 해제를 원활히 진행하는 것이 과제였다. 요시다 유타카(吉田裕)는 "칙어가 군인과 국민에게 항복함을 납득시키기 위한 국내용 메시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토쿠토미소호오' 종전 후 일기('徳富蘇峰'終戦後日記)에는 "이제까지의 일본은 평화 국가가 아닌  침략 국가였다"는 기록도 언론에서 주목하고 있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 교수는 언론계 중진이 남긴 이 말에 주목하고 일왕의 칙어는 전후 70년이 지나도 풀리지 않는 역사 인식의 갈등의 원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그것은 일본 헌법이 점령군에 의한 '강요'여부를 둘러싼 논란에도 직결한다고 와다씨는 말했다. 쇼와 일왕의 칙어는 '전쟁 국가'에서 '평화 국가'로 전환하겠다는 국민에 대한 제안이었고, 사람들은 넓은 그것을 받아들이고 헌법 9조의 평화 주의를 환영하는 토양이 됐다고 밝혔다.

김유진 기자 3678588@daum.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