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20:31 (금)
우리는 주인이 허락 하지 않으면 못 들어 간다
상태바
우리는 주인이 허락 하지 않으면 못 들어 간다
  • 민경관 논설위원
  • 승인 2011.08.02 1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끝도 없는 억지...적반하장도 유분수 지

끝도 없는 억지...적반하장(賊反荷杖)

우리는 주인 허락 없으면 못 들어간다

참으로 해괴한 일들이 많아 벌어지고 있는 세상이라 지만 日本 사람 마냥 뻔뻔하고 염치없는 인간들이 또 어디 있을까 하는 생각이 요즘처럼 많이 들었을 때는 없었던 것 같다. 이웃 나라를 조금 서운한 마음이 든다고 아무 생각 없이 해버리고 마는 그런 차원의 감정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도 함께 하게 된다. 철저하게 준비된 수순을 밟아가면서 상대가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함부로 언행을 하도록 부채질하면서 자신들은 아주 이성적 인냥 행동하는 대표자들이라는 일본의원들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우리는 옛날부터 이웃집에 들어 갈 때는 인기척을 한 다음 주인장을 청해 방문 목적을 공손하게 건네고 주인의 허락이 날 때까지 기다린다. 집에 변고가 있거나, 즉 병자가 있는 우환중에 있거나 산생일 앞두고 있다거나, 집을 수리하는 길일을 정해 놓고 준비 하거나, 혼삿날 을 위해 온갖 정성을 들이는 일등 무수히 많은 일들이 있기 마련이기에 그 집의 형편에 맞게 하기 위해서이다.

내 사정만을 내 세우는 자기 주관적 사고가 아니라 상대의 형편에 맟추는 배려의 정신에서 시작 하는 우리들의 마음 가짐이다. 하면서도 주인은 자기 형편에다만 이유를 붙이진 않는다. 방문자의 어려운 사정을 세심하게 고려 해보려 많은 생각 끝에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 훗날에도 정겨운 이웃으로 서로를 감싸 안는다.

이러한 것들이 전래적인 우리의 풍습으로 우리를 지키고, 이웃을 배려하는 전통으로 자리 잡아 왔다. 배려해야 할 가치에 대해선 아낌 없이 돕지만 그 반대일 경우에는 정중히 사절하여 상대를 이해 시켜 왔던 것이다.

그러한 우리로서는 아무리 대륙의 문화와는 거리를 두고 살아온 민족이라 하더라도 예의, 도덕면에서 볼때 해도 너무 하고 갔다는 불쾌감을 지워 버릴수가 없다. 무턱대고 대문을 들어서려는 그 일본사람들에게 ‘들어 올수가 없다’고 정중히 거절하는 데도 적확한 이유를 설명하여 자신들을 이해 시키라며 장장 9시간여를 버티다 불법임을 드러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통첩 하자 막 차로 돌아갔다는 8월의 첫날에 김포공항에서 일어났던 일이 바로 그 일 입니다.

쫏겨서 되돌아간 후 자기 동네 친구들과 이미 예견된 결과에 짜 맞추어 장황한 글귀로 ‘우리 땅에 들어 가려는데 가로 막았다’고 용감한(?)한 행동에 대한 많은 찬사를 받았다 한다. 그러구서 우리에게 공식 항의 하는 기록을 남기는 것을 잊지 않았다. 다른 이웃인 중국에게는 정 반대로 행했던 행동은 잊어 버린채. 그 투정부리며 졸라 대던 9시간 동안에도 배는 고팠는지, 맛 있는 한식은 알고 있었는지 우리의 ‘비빔밥‘으로 즐겼다는 소식도 함께 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우리땅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소홀이 해온 감이 없지 않았다. ‘원래 우리 것 이니까 ’ 하는 순진한 생각에서 느슨하게 대처 해오다 최근에는 해상 호텔건립, 해상국립공원 지정등과 같은 것을 검토하며 국제적 분쟁에 대비한 조용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어 다행 스런 일이다. 착실하게 다 각도로 대비하는 것은 문 단속도 잘 해야 겠지만 공식 문서도 잘 정리하여 법적으로 보호 받을수 있도록 해 놔야 된다는 뜻이다.

어쨋거나 우리는 우리 집에 허락 없이 들어오려는 불한당을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은것에 대해 그 시간에 잘 막은 관계자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내는 바이다. 다른 이유나 말이 필요치 않다. 우리 집안 사정에 의해 집에 들일수 없다는 데 다른 이유가 필요 하겠는가?

강제로 라도 들어오려고 때 쓰는자 들을 보면 대개는 물건을 훔치려 한다거나 찜해 두고 기회를 봐서 훔치려는 속셈이 있기 마련이다. 더 심한 사람의 경우에는 세간중 일부를 자기들 것이라고 악쓰는 경우도 있다. 고통 받고 있을때 도와주는것과 우리집을 함부로 드나들겠다고 억지를 부리는 일은 엄연히 구분하여야 후환이 없다. 더욱이 8월은 우리가 주권을 되찿은 중요하게 기억하고 있는 8월이다.

 

민경관 논설위원 mkk1711@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인기기사
섹션별 최신기사
HOT 연예